분류 전체보기 91

[TIL] camp_day69_240723

최종 프로젝트 이틀차! 오늘도 하루가 정신없이 지나갔다.  팀 프로젝트어제 큰 틀에서의 도메인만 커머스로 정해두고, 데이터셋도 구체적인 주제도 정하지 못한 상태로 하루를 시작했다.오전 스크럼 시간에 각자 찾아온 데이터셋에 대해 피드백을 주고 받았는데, 원하는 컬럼이 있으면 데이터의 볼륨이 너무 작고, 데이터 볼륨이 충분하면 분석하고 싶은 컬럼이 없고, 결국 모두의 마음에 드는 데이터셋이 없었다. 기획서 제출 데드라인이 다가와서 일단 제출은 해야 하니까 내가 급하게 만들어 낸 프로젝트 기획안이 있었는데 생각보다 괜찮아서 이걸 디벨롭 시켜보기로 했다.오전 스크럼 때 팀에 제안했던 데이터셋/기획안 중 하나가 커머스 플랫폼의 MD 입장으로 수행하는 분석이었다. 마침 셀러 별로 정리가 잘 되어있던 여름 의류 판매..

[TIL] camp_day68_240722

최종 프로젝트 첫째 날! 내일배움캠프 데이터분석 2기도 이제 딱 한 달 남았다. 매일 12시간의 학습이라 끝나지 않을 것만 같았는데. 최종 프로젝트 잘 마무리해서 유종의 미를 거둘 수 있으면 좋겠다.팀 프로젝트최종 프로젝트 팀원들과 첫 회의 진행! 팀업 미팅은 이미 지난 주에 진행했고, 오늘은 각자 최종 주제로 어떤 것을 하고 싶은지 의논했다.팀원 모두 게임 쪽으로로는 잘 모르기도 하고 관심이 크게 있는 것은 아니라서 커머스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싶어했다.각자 괜찮을 것 같은 주제를 하나씩 꺼내봤는데 의견이 모아지지 않아 결국 튜터님께 상담.원래는 문제를 정의하고 데이터를 구하지만, 데이터셋을 구하기 힘드니 괜찮은 데이터를 먼저 구해서 문제를 정의하고 프로젝트 주제를 잡아보라고 조언해주셨다.각자 프로..

[데이터 분석 프로젝트] 호텔 운영관리 대시보드 구축

프로젝트 명 : 호텔 운영 관리 대시보드 구축프로젝트 기간 : 2024년 07월 03일(수) ~ 07월 12일(금)팀 구성 : 4인역할 : 팀장, 프로젝트 발표 및 프로젝트 기획1. 프로젝트 개요프로젝트 목표2017년 상반기(1월 ~6월) 호텔 운영 관련 정보를 대시보드로 시각화하여, 상반기 운영 현황에 관한 인사이트 제공프로젝트 핵심 내용상반기 결산 보고 회의에 제시될 자료로, 호텔 경영 최고 관리자, 각 파트 별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대시보드서비스 부문 별 책임자가 상반기를 리뷰하며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데이터 시각화cf. 주요 호텔 KPI 지표 2. EDA 및 전처리사용 데이터 및 전처리https://www.kaggle.com/datasets/jessemostipak/hotel-bookin..

[TIL] camp_day66_240718

벌써 목요일이라니! 오늘은 라이브 세션만으로 하루가 금방 지나갔다. 최종 프로젝트 관련된 세션이 많아서 좋았다. 팀 프로젝트 - 회고 & 피드백 적용?오늘 라이브 세션을 들으면서 이번에 완료한 프로젝트를 회고하고, 피드백을 적용해서 포폴용으로 발전시켜야겠단 생각을 했다.위 이미지는 내가 팀 프로젝트 중간에 작성했던 호텔 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정리한 것이다.모든 서비스는 가치 창출 또는 매출 발생이라는 목적이 있기 떄문에, 잘 모르는 도메인이지만 비즈니스 모델 / 수익 모델 분석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하여 내 나름대로 분석해 보았다.또 검색하면서, '타임커머스'라는 개념을 다루는 흥미로운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었다.데일리호텔타임커머스 모형의 데일리 호텔 비즈니스 모델 분석비즈니스 모델 분석을..

노션 활용하기 : 학습 관리용 페이지 구조 설계하고 사용하기

노션은 내가 좋아하는 메모 & 협업 툴이라, 예전부터 업무 다이어리로도, 개인 기록용으로도 사용하고 있었다.이번 내일배움캠프 부트캠프에 참여하면서는 특히 이것저것 기록할 일이 많아 별도 페이지를 생성해서 기록 관리를 해 오고 있다. 1. 메인페이지와 하위 구조 위 이미지는 내 학습 노션 메인 페이지 캡쳐본이고, 구조로 보면 아래와 같다.   일단 다른 사람들과 함께 하는 task 관련과 내 개인 학습 관련된 페이지로 크게 구분한다. 상단의 "학습 관련 링크" 영역에는, 매일 접속하거나 확인이 필요한 링크들(ex. 출석 관리 페이지, 메타버스 학습공간(zep), 구글 시트 등)과 각 커리큘럼 과정 별 공지 내용,그리고 다른 부트캠프 수강생들과 함께하는 팀프로젝트별 관리 페이지가 위치한다.하단의 "개인 학습..

[TIL] camp_day64_240716

마지막 학습주차 이틀차. 라이브 세션을 통해 Open API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에 대해 학습했다.학습 내용데이터 수집 특강_1 : API 통신API :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의 약자로,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접근 가능한 사용자의 권한 관리 / 프로그램 간 원활한 통신 지원 / DB 접속 표준화 라는 특징이 있다.네이버 API, 다음 API 등 포털에서 제공하는 무료 API와,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는 공공 데이터 API 등의 예시가 있다.Python의 requests 라이브러리를 통해 요청을 전달하고 값을 가져올 수 있다.API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JSON 또는 XML 형태로 가져오기 때문에, 보기에 & 분석..

[TIL] camp_day63_240715

프로젝트가 끝난 여파로... 아무 것도 안 하고 놀면서 하루를 보내버렸다...밀린 TIL과 WIL을 정리해보려 했는데, 그마저도 안 해서 내일 학습을 열심히 하면서(!) 기록물도 채울 생각이다.학습 내용매번 헷갈리는 sort 와 sorted(Python)sort(list) : list 원본을 수정하지 않고, 정렬해서 print만 해준다. .sorted() : 해당 리스트의 값 자체를 정렬한다. 풀이한 문제_프로그래머스_명예의 전당(1)상위 k 번째 중, 매일 가장 낮은 점수를 리스트에 담아 출력해야 하는 문제.빈 리스트 두 개를 만들어, 하나에는 새로 추가되는 점수를 이어 붙이면서 리스트 정렬 후 상위 k 번째만큼 자른 다음 최소값을 구해 answer라는 빈 리스트에 값을 계속 붙여나가는 구조로 코드를 ..

[WIL] 2024_w28_주간 회고_내일배움캠프_데이터분석2기_13주

이번 주의 목표와 달성프로젝트 무사히 잘 끝내기 → [완료]프로젝트 회고 하기 & 튜터 피드백 정리하기 → [완료]이번 주의 학습 키워드Tableau대시보드 시각 이번 주 한 눈에 보기이번주의 KPT_개인Keep- 적절한 프로젝트 목적과 목표를 설정하고, 팀 프로젝트 진행이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관리하는 일 -프로젝트 내용을 정리하여 팀에 공유하고, 매일 스크럼 시간을 통해 일일 목표를 설정하고 회고하는 것 - 지난 번 프로젝트보다 파이썬 실력이 늘었다. 지금처럼 학습 병행하기.Problem- 프로젝트 기간 중 시간 관리가 원활하지 않다. 이로 인해 매일 TIL 작성을 놓치고, 프로젝트가 끝난 이후 여유 시간이 생겼을 때에서야 일일 회고를 진행하여 누락되는 부분이 생긴다.- 프로젝트 종료 후, 진행한 프로..

[TIL] camp_day62_240712

프로젝트 발표일. 첫 번째 발표 그룹에서 맨 마지막 순서로 발표하게 되어 좀 떨리는 상태로 다른 팀의 발표를 들어야 해서 아쉬웠지만, 그래도 발표는 무사히 마무리 지었다.팀 프로젝트우리 팀 프로젝트 관련 피드백 요약프로젝트 배경을 5W1H에 따라 상세히 설정한 점은 좋았으나, 발표 뒷부분 결론에서 대시보드 뷰어에게 연결되는 부분이 명확하게 이어지지 않았다.분석에 사용한 파생변수가 다소 많다 : 계산된 필드(파생변수)를 많이 사용할 경우, 각 파생변수가 목표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구체화해야 한다.태블로의 범례 기능을 활용하여, 대시보드에 표현한 약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면 더 좋을 것 같다.결론 부분을 통해 추론한 바로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상반기 운영 내용에 대한 가설을 여럿 세운 것 같은데, 발표 초반..

[TIL] camp_day61_240711

드디어 프로젝트 끝!! 제출할 자료들 다 냈고 내일 발표만 남았다!!! 팀 프로젝트 - 간단한 회고와 정리이번 프로젝트에서는 그 동안 학습한 태블로 관련 스킬을 적용해 최종 결과물로 대시보드를 만들어야 했다.우리 팀은 예시 주제가 아닌, 자유 주제를 선택해 도메인 선정 부터 데이터셋을 찾고, 프로젝트 진행 방향을 기획하는 완전 기초 단계부터 시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우여곡절 끝에 선정한 주제는 "관광업/호텔" 이었고,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호텔 운영 관리라는 인사이트를 가지고 프로젝트를 시작했다.팀원 중 호텔업계 경력이 있는 분이 계셔서 돌아가는 구조는 대강 알 수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관련 업계 지식이 거의 전무한 상태였다. 해봐야 고객으로서 국내/외 호텔을 이용해 본 경험 정도?그래도 전체적인 수..